승무 춤은 물이 흐르는 듯 끊어짐이 없이 이어지고, 그 내용은 탄생에서 해탈까지의 인생사를 담고 있다.
승무는 한국의 전통 춤의 대표 격으로 1969년 7월 4일 국가 무형 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승무의 유래]승무이라는 명칭으로 불교 색채를 느낄 수 있지만 그 유래로는 불교솔 이외에 여러가지 재미 있는 기원설이 있다.
민속 무용 유래설은 지족 선사를 유혹한 황진이 무용솔에 조선 시대, 황진이가 수도승 지족 선사를 유혹하려는 목적에서 세부터 무더워장삼에 한 모시 삼각 모자를 쓰고 본 가사를 짊어진 승복 차림으로 교태로운 춤을 추는 마치고 지족 선사를 유혹시켰다는 설이 있고, 어느 파계승이 백팔 번뇌를 잊으면 북을 두드리며 찾기 시작한 춤이 승무의 기원이라는 설과 체육관 대사의 제자 송징이 길을 걷던 도중에 8선녀가 노니는 광경을 보고사내의 힘든 욕정을 광대가 무량한 불법에 귀의하기 때문에 법열과 해탈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내용을 춤으로 표현했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가장 유력한 설은 불교 의식 무용 중’법고’춤에 유래했다는 얘기다.
스님 모습에 닮은 무복도 불교 기원설에 무게를 두고 있다.
[승무의 구성]승무의 구성은 크게 염불 과장, 정책 과장, 굿거리 과장, 법고-당악 과장, 늦은 굿거리 과장이 되어 있으며, 각 과장에서 곧 리듬 변화를 받지 않고 놈킴치에의 역할을 하고 잦은 장단이 들어 자연스러운 조사의 변화(변화)의 예고(예고)와 속도 변화의 완충적(완충적)역할을 한다.
(*과장하는 상황을 의미)
① 염불 과장, 우주의 탄생과 생명의 씨앗이 깃들어 태어난 시작을 알리는 과장. 신중한 무게를 느끼고 긴 호흡을 내부 깊은 곳에서 찾아 그 기운이 무한으로 뻗어 정취가 짙게 깔린 승무의 대표적인 부분이다.
놈킴치에:도도우리 박자:정책 과장에 옮기타령과 염불의 연결 과장
②에 과장 경쾌한 리듬에 맞추어 춤을 추면서 노동의 시작을 알리는 장면이다.
직선적인 춤을 이루고 있어 이를 통해서 외향적인 활달함을 표현하는 도약(도약)와 미약(미약)의 춤을 이루고 있다.
③ 굿거리 과장 굿거리 과장은 생로병사, 희로애락 등 살아 보고 느끼는 감정을 표현한다.
타령 장단과 비슷한 4박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교와 묘미(표현)이 춤의 정취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섬세함을 보이지만 정책 과장과 닮아 보이지만 이 굿거리에서는 더 빠른 리듬에 기교를 부드러우면서 둥글게 표현하고 있다.
④ 북한(법고)음악과 당악 과장 댄서가 직접 북채로 북을 치며 당악에 연결한다.
춤은 빠르고 경쾌한 발놀림이 섬세하며, 빠르게 북을 두드리는 과장에서부터 그 기운이 이어져 절정에 이르는 장이다.
⑤느릿느릿한 굿거리 과장은 모든 춤을 마무리하는 대목에서 앞 과장의 경쾌하고 시원한 부분을 떨어뜨린 듯 느끼고 북을 치던 손을 다시 지팡이 세 자락에 담아 추는데, 이때는 완만한 정리 단계의 성격을 지녀 크게 움직임이 없다.
북소리가 멎으면서 느린 굿거리 장단에 맞춰 감정을 추스르고 춤이 끝나면 두 손을 합장하고 앞을 보며 끝낸다.
[승무음악 대풍류 삼현육각]대풍류는 음악으로 감상했을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삼현육각(三賢六角)’이란 한국 전통 악기의 편성법으로 향적 2, 젓갈, 해금, 북, 장구를 사용하는데 춤의 반주를 ‘삼현육각(三賢六角)’이라 한다.
조선시대 화가 김홍도의 그림 <무동>은 이러한 삼현육각 악기 편성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림 왼쪽 위에 보면 버킷을 쓴 북을 두드리고 있는 남자가 있다.
그냥 좌고 치는 중이야. 오른쪽 삿갓을 쓴 사나이는 장구를 치고 있고 오른쪽의 사내 둘은 피리를 달고 있다.
[참고문헌] – 손준호 ‘다시 만난 전통춤’ 삼각형 아래 피어나는 나비춤 승무’ 국악누리 2020 – 송영미 ‘승무춤에 내재된 공간구성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4 – 이정아 이화여대 대학원, 2003.-이병옥, 한영숙류와 이장방류 승무 비교연구, 노리출판사. 2003-손경린, 한국전통무용, 일지사.1979
그동안 전통 무용 이야기를 써왔지만 실제로 추지도 체험하지도 못한 춤은 승무가 처음이다.
승무의 예술성과 중요도를 생각하면 훨씬 앞부분에 나왔어야 하는데 경험해보지 못한 춤이어서 선뜻 글쓰기가 부담스러웠던 모양이다.
필자에게 승무는 춘앵전을 처음 볼 때처럼 (법고북이 나오기 전까지는) 조금은 지루하게 보던 춤이었다.
그러나 이번에 칼럼을 쓰게 되면서 조금은 승무의 예술성과 기품 있는 춤을 알게 되어 어느덧 추고 싶은 춤이 되었다.
[필자소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장시간 디자이너와 디렉터로 활동하였다.
한국의 전통 춤은 늦은 나이이지만 많은 명무 선생들의 춤을 보고 또 실제로 배우면서 한국인의 멋/흥을 표현하는 매력적인 한국 전통 춤을 널리 알리고 싶은 마음으로 칼럼을 쓰고 있다.
승무는 댄서들이 가장 많이 추고 또 배우고 싶은 춤이라고 한다.
한국 전통 무용 중에서 가장 품위 있는 작품으로 무용과 반주 음악의 다양성, 무복과 공간의 조화미에 따라 예술성까지 겸비한 춤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기본 춤과 구성에 있어 한국 무용의 기본 틀과 대표적인 춤이 응집되어 학문적 가치도 높기 때문이다.
승무의 춤은 물 흐르듯 끊김없이 www.seasondaily.net